재테크/부동산 청약정보

순천에도 아파트 열기 잡을 프리미엄 임대아파트 들어설까? :: 대광로제비앙 리버팰리스

바른마음송구 2020. 10. 12. 22:57
반응형

20201012일 현재 수많은

정부의 부동산정책으로 수도권 등지의 전세가격과 집값이 연일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규제를 피해 지방의 투자를 나선 외투들 그로인해 가격이 올라가고 중소도시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마저 치솟고 있다.

현재 지방 도를 대표하는 소도시들의 분양 열기는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 중에서도 순천 아파트 가격의 상승세가 심상치않다.

2018년부터 순천에 분양된 12개 단지는 모두 1순위에서 청약 마감에 성공하며 

청약 열기 또한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그렇다면 대단지 프리미엄 임대아파트가 들어서면 실수요감소로 인한

순천에 아파트열기가 좀식을까?

  논문을 통해알아보자.




임대주택 및 행복주택이 주변 집값에 영향이있을까하는

20173월에 논문으로 발표를 쉽게 요약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임대주택은 주변 주택 가격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임대주택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영향이 줄어든다고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겠죠.

 

 

거리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아파트로 지어진 행복주택과  500m 이내의 아파트는 약 4.3% 상승하였습니다.

  250m 이내의 아파트는 

외부지역의 아파트보다 사업승인 이후 약 6.5% 가격상승하였고

 행복주택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승폭 또한 감소했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행복주택은 주변지역의 주택 가격을 떨어뜨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대주택은 일부 전문가들이 분석한 결과에

 공공임대주택이 주변 분양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주변 아파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은 임대주택단지의 입지여건이 좋으면 긍정적이었다,.



 우리가생각했던거와는 다르게 

실제로 공공임대주택은 주택 가격상승억제에 큰도움이 되지않은걸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공공적으로 공급을 많이해야 

주택 가격상승에 억제가 된다며 임대주택 건설에 많은 주장을 했을것입니다.



하지만 이논문은 서울을 대상으로한 논문입니다.

그렇다면 서울이아닌 지방소도시 순천은 어떨까요?




밑에서 대광로제비앙정보와 순천에대해 분석을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순천에 브랜드 가치가 높은 아파트가 온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논문과 마찬가지로 크게영향이없을 것이다.


순천지역은 현재 신규공급 아파트기준 평당1천만원선을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열기는 수도권의 규제와 맞물려 순천신대과 여수웅천의 과열에 더불어

순천의 서면 가곡 용당의 뉴주거타운 생성으로 생긴현상이다.



그렇다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뜨거운 가운데 순천에서 브랜드입지가좋은 임대아파트가 들어선다.

순천 지역에서는 오천동 대광로제비앙, 조례동 대광로제비앙등이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지도가 높으며 

 전국적으로 25천여 세대를 성공적으로 공급하며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아가고있는 대광 건설에 대광로제비앙을 임대분양한다.




 



이번 대광로제비앙은 8년간 거주하면 분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세형 민간임대 아파트로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청약할 수 있으며


또한 청약통장 유무, 주택 소유 여부,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신청가능한 장점이있다.



 

 



★ 대광로제비앙 리버팰리스 몇세대로 지어졌을까?


727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구성

 

실수요자가 선호하는 중소형 대단지로 선보인다.

 

   전용면적은 59, 77, 84, 994가지 타입

    4Bay 혁신설계를 적용하였다.



 



★ 대광 로제비앙 리버팰리스 입지는어떨까?

 

 서천과 동천의 강변의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단지를 감싼 삼산, 강청수변공원, 기적의 놀이터 등을 통해 여유롭고 쾌적한 생활이 가능

학군으로는

동산초, 순천북초, 용당초, 매산중, 순천여중, 향림중등 있다.

 

★교통은 어떨까?


서순천IC와 순천IC로 호남고속도로 및 광양 여수 고속도로 출퇴근가능하다.

 

반응형